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1 서비스 기획 스쿨 안녕하세요 글쓰는 직장인 쿨캄준입니다. 오늘은 일독을 마친 책 "현업 기획자 도그냥이 알려주는 서비스 기획 스쿨, 사수 없이 시작하는 웹/앱 프로덕트 실전 입문서"에 대해 글을 쓰고자 합니다. 필자는 사실 게임업계에 입문을 하고자 했을 때 가장 지망했던 포지션이 기획자였습니다. 원하던 프로젝트는 메이플스토리M이었습니다. 원인은 메이플을 정말 좋아했기 때문입니다. 초등학교, 중학교 시절에 PC 버전을 플레이했고, 오늘날에도 메이플스토리M을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오픈 때부터 했으니 이제 대략 5~6년은 플레이했네요. 그러나 경력 3년 이상 채용뿐이 없었고, 그래도 도전해 보자는 마음에 지원하고 매일 결과를 기다렸으나, 메이플스토리 모바일 기획자 포지션은 모두 탈락하게 됩니다. 그래도 게임을 좋아했.. 2022. 7. 21. 어떤 게임회사에 입사해야 할까?(ft.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 #5) 안녕하세요 글쓰는 직장인 쿨캄준입니다.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는 앞으로 제 브런치(https://brunch.co.kr/@coolcalmjoon)에서 연재됩니다, 많응 응원 부탁드립니다. 지난 글에서 게임업계가 현재 가지고 있는 구조적 한계점에서 이야기를 했었습니다. 게임업계의 좋은 점만을 나열하고 사업개발 담당자를 추천하는 글의 전개보다는, 명확하게 오늘날의 게임업계의 실태를 파악하고 진로 고민에 임했으면 하는 생각이 있었습니다. 게임 개발은 느리고, 출시되기까지 기다려서 세일즈를 해야 하는 업무 프로세스에 놓여있는 사업개발 담당자의 입장에서는 답답하기만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게임 개발이나 의사결정에 있어 큰 회사는 느리고 조심스러운 반면, 신생기업이나 스타트업처럼 작은 회사는 상대적으로 기.. 2022. 7. 19. 사업개발 담당자가 알고 있어야 할 게임업의 특성(ft.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 #4) 안녕하세요 글쓰는 직장인 쿨캄준입니다.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는 앞으로 제 브런치(https://brunch.co.kr/@coolcalmjoon)에서 연재됩니다, 많응 응원 부탁드립니다. 신입 해외 게임 사업개발 담당자는 영어를 잘해야 합니다. 그리고 국내외 사업개발 담당자에게 있어 게임에 대한 이해는 공통적으로 중요하며, 외향적인 성격은 필수적 자질이 아닙니다. 오늘은 사업개발 담당자가 알아야 할 게임회사의 특징들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게임업계에서 사업개발 담당자가 되고자 한다면 본 글을 읽어 보고 본인 성향과 맞는지 미리 알아봅시다. 게임회사 그리고 넓게는 IT 회사의 보편적인 특징에 대해서(ft. 게임은 뚝딱하고 세상에 나오지 않는다) 게임회사의 해외 사업개발 담당자를 희망하고.. 2022. 7. 19. 사업개발 담당자는 외향적이어야 하는가? (ft.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 #3) 안녕하세요 글쓰는 직장인 쿨캄준입니다.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는 앞으로 제 브런치(https://brunch.co.kr/@coolcalmjoon)에서 연재됩니다, 많응 응원 부탁드립니다. 오늘은 사업개발 담당자가 외향적이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CCJ의 사업개발 이야기' 카테고리의 글에서는 때때로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지 않고 필자의 경험담이 포함될 예정이므로 참고해 주세요. 바로 사업개발 담당자에게 외향성은 필요한 역량인지 알고 싶으신 분은 녹색 하이라이트만 읽어주세요! 쿨캄준의 미국 콘솔 게임 시장 진출 썰(feat. 외향적인 성격은 BD에게 필수는 아니다) 게임 사업개발 담당자가 보유해야 하는 가장 기초적인 스킬은 영어 실력과 게임에 대한 이해입니다. 그리고 사업개발 담당자는.. 2022. 7. 19. 이전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 148 다음 반응형